맨위로가기

교황 인노첸시오 8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노첸시오 8세는 1484년부터 1492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제노바 출신으로, 교황 선출 전에는 사보나 주교, 추기경 등을 역임했다. 교황 재위 기간 동안 오스만 제국과의 외교, 십자군 소집, 마녀 박해, 스페인 종교 재판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특히, 오스만 제국의 젬 술탄을 바티칸에 억류하고 금전적 대가를 받거나, 마녀의 망치를 지지하며 마녀사냥을 부추기는 등 실리적인 정책을 펼쳤다. 또한, 족벌주의로 사생아를 혼인시키고 친족을 등용하는 등 세속적인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1492년 사망했으며, 바티칸에 묘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보가 - 마달레나 디 로렌초 데 메디치
    로렌초 데 메디치의 딸인 마달레나 디 로렌초 데 메디치는 프란체스케토 치보와 결혼하여 추기경 인노첸초 치보, 페렌틸로 공작 로렌초 치보, 카메리노 공작 부인 카테리나 치보를 포함한 7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녀의 가계는 메디치 가문과 오르시니 가문을 포함한 주요 가문들과 연결되어 있다.
  • 1432년 출생 - 메흐메트 2세
    메흐메트 2세는 1432년에 태어나 1451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되어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을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1481년에 사망했다.
  • 1432년 출생 - 아폰수 5세
    아폰수 5세는 포르투갈의 왕으로서, 북아프리카 원정을 통해 영토를 넓히고 "아프리카의 왕" 칭호를 받았으며, 미성년 즉위 후 섭정을 거쳐 친정으로 왕권을 강화하고 대서양 노예 무역을 장려했으며, 말년에는 카스티야 왕위 계승 전쟁에 참여했다 실패 후 은퇴했다.
  • 1492년 사망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1492년 사망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수학자로, 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구성과 심리 표현이 특징이며, 《참십자가의 역사》, 《그리스도의 세례》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수학적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교황 인노첸시오 8세
기본 정보
이름인노첸시오 8세
로마자 표기Innocentius VIII
이탈리아어 표기Innocenzo VIII
일본어 표기インノケンティウス8世
본명조반니 바티스타 치보
이탈리아어 본명Giovanni Battista Cybo
출생일1432년 11월 5일
출생지제노바 공화국, 제노바
사망일1492년 7월 25일
사망지교황령, 로마
종교가톨릭교회
이전 직책사보나 주교 (1466–1472)
몰페타 주교 (1472–1484)
산타 발비나 성당 추기경 (1473–1474)
산타 체칠리아 성당 추기경 (1474–1484)
추기경단 카메를렌고 (1482; 1484)
교황 재임 정보
교황 즉위 시작1484년 8월 29일
교황 즉위 종료1492년 7월 25일
선임 교황식스토 4세
후임 교황알렉산데르 6세
서임 정보
사제 서품1450년경
주교 서임1467년 1월 28일
추기경 서임1473년 5월 7일
추기경 임명자식스토 4세
기타
존칭교황
경칭성하
호칭거룩한 아버지
문장
가족
아버지아란 치보
자녀테오도리나
프란체스케토

2. 생애 초기

조반니 바티스타 치보는 1432년 제노바에서 아라노 치보와 테오도리나 데 마리의 아들로 태어났다.[2] 그의 가문은 그리스 혈통을 가진 오랜 제노바 가문이었다.[24][25][26][27][28] 아라노 치보는 교황 갈리스토 3세 치하에서 로마 원로원 의원을 지냈다. 조반니 바티스타는 유년 시절을 나폴리 궁정에서 보냈으며, 이후 파도바로마에서 교육을 받았다.[2] 나폴리에 있는 동안, 조반니 바티스타는 카푸아 대성당의 참사회원으로 임명되었고, 제노바의 산타 마리아 다르바 수도원장직을 받았다.[2]

3. 초기 경력

조반니 바티스타 치보는 로마에서 교황 니콜라오 5세의 이복형제인 칼란드리니 추기경의 수행 사제가 되었다.[3] 1467년 교황 바오로 2세에 의해 사보나의 주교로 임명되었으나, 1472년 이탈리아 남동부 몰페타의 주교직과 교환했다.[3] 1473년, 훗날 교황 율리우스 2세가 되는 율리아노 델라 로베레의 지원을 받아 교황 식스투스 4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3]

4. 교황 선출

1484년 콘클라베는 교황 식스토 4세가 선종한 후 소집되었는데, 당시 추기경단은 두 파벌로 분열되어 있었다. 로마 시내 곳곳에서는 각 파벌을 따르는 집단이 서로 충돌했고, 로마 시민들은 콘클라베를 배후에서 조종하던 전임 교황의 조카 지롤라모 리아리오의 저택을 파괴했다.[4] 지롤라모의 아내는 산탄젤로 성으로 도망가 새 교황이 선출될 때까지 자신이 그 요새를 통치하겠다고 선언했다.

콜론나 가문이 로마에서 반란을 선동하자, 오르시니 가문도 반격을 준비하면서 로마에 내전의 기운이 감돌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추기경단은 연일 격렬한 언쟁만 벌였다.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추기경은 자신이 교황으로 선출될 만큼의 표를 얻지 못하자,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인물로 조반니 바티스타 치보 추기경을 선택하여 전폭적으로 지지했다.[4]

베네치아 출신의 마르코 바르보 추기경의 선출을 막기 위해, 델라 로베레 추기경과 로드리고 보르자 추기경은 여러 추기경들을 방문하여 수혜직을 약속하며 표를 확보했다.[4] 델라 로베레 추기경은 바르보 추기경에게 주거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더 많은 표를 확보하려 했으나, 바르보 추기경은 사이모니 때문에 선거가 무효화될까 봐 거절했다. 이후 델라 로베레 추기경은 보르자 추기경을 만나 치보 추기경에게 표를 넘기는 대가로 혜택을 약속했다.[4]

결국 조반니 바티스타 치보 추기경은 델라 로베레 추기경과 보르자 추기경의 지지를 얻어 1484년 8월 29일 교황 인노첸시오 8세로 선출되었다.

5. 교황 재임

인노첸시오 8세는 즉위 직후 십자군 원정을 위해 그리스도교 세계를 단결시키고자 했으나, 나폴리 왕국의 페르디난드 1세와의 갈등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489년 페르디난드 1세를 파문하고 프랑스샤를 8세에게 나폴리 왕국 점령을 요청했으나, 이는 이탈리아 반도 전체에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오스만 제국바예지드 2세와 협상하여 그의 동생 술탄 젬을 바티칸에 억류하는 대가로 매년 40000두카트와 성창을 받기로 한 것은 십자군 결성이라는 초기 입장과는 상반되는 실리적인 외교 정책이었다.

1484년 12월 5일, 독일의 마술사와 마녀를 비난하는 교황 회칙 「지고의 것을 추구하는 이들에게(Summis desiderantes affectibus)」를 발표했다. 1487년 토마스 데 토르케마다를 스페인 종교재판소 장관으로 임명하여 스페인 종교 재판을 지원했으며, 발도파 탄압에 참여하는 이들에게 전대사를 부여했다. 1486년에는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의 저서를 금서로 지정했다.

1492년 1월, 그라나다 함락으로 레콩키스타가 완성되자, 페르난도 2세에게 "가톨릭 왕(Rey Católico)" 칭호를 수여했다.

족벌주의를 통해 자녀들에게 특권을 주었으며, 지롤라모 사보나롤라는 그의 방탕한 삶을 비난했다. 사생아 프란체스케토 치보는 로렌초 데 메디치의 딸 마달레나와 결혼했고, 그 대가로 로렌초의 차남 조반니(훗날 교황 레오 10세)가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5. 1. 오스만 제국과의 관계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2세는 1481년부터 1512년까지 통치했다. 그의 통치는 이집트 맘루크의 지원을 받으려 했던 그의 동생 젬 술탄에 의해 도전받았다.[5] 형의 군대에 패한 젬은 로도스 기사단의 보호를 요청했다.[5] 젬 왕자는 오스만 제국과 기독교 세계 사이의 영원한 평화를 제안했으나, 술탄은 젬을 계속 감금하기 위해 기사단에 많은 돈을 지불했다.[5]

1489년 3월, 젬은 교황 인노첸시오 8세의 보호 아래 넘겨졌다.[5] 젬이 로마에 있는 것은 유용했는데, 바예지드가 발칸 반도의 기독교 국가들에 대한 군사 원정을 시작하려 할 때마다 교황은 그의 형제를 석방하겠다고 위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5] 젬의 감금을 유지하는 대가로 바예지드는 인노첸시오 8세에게 12만 크라운, 성창 유물, 연간 45000두카트를 지불했다.[5]

인노첸시오 8세는 즉위 직후 십자군을 조직할 것을 기독교 세계에 요청하였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1498년, 바예지드 2세와 협상하여 젬 왕자를 바티칸에 억류하는 대가로 매년 봉급 40000두카트와 성창을 받기로 합의하였다. 이는 십자군 결성이라는 초기 입장과는 상반되는 실리적인 외교 정책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5. 2. 마녀 박해와 교황 칙서

1484년 독일의 종교재판관 하인리히 크라머의 요청에 따라, 교황 인노첸시오 8세는 교황 칙서 《지고의 것을 추구하는 이들에게(Summis desiderantes)》를 반포하였다. 이 칙서는 사악한 주술을 행하는 주술사들과 마녀들을 단죄하고 이들에 대한 크라머의 조사를 지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29]

:“최근 마인츠, 쾰른, 트리어, 잘츠부르크, 브레멘 등 독일 북부의 일부 지역에서 여러 남녀노소가 자신의 구원에 대한 관심을 끊고 악마의 꾐에 빠져 가톨릭 신앙을 저버렸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부적과 주문, 요술, 그리고 입에 올리기 심히 끔찍한 미신 행위와 점성술, 신성모독, 흉악한 범죄 행위, 악행은 물론 포도덩굴이나 나무의 열매 등 땅의 소산물 뿐만 아니라 동물의 새끼나 사람의 아기를 악마에게 바치는 행위가 공공연하게 자행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행위는 당사자들은 물론이고 다른 사람들, 심지어 소나 양 등 가축들까지 육적·영적으로 지독한 고통과 괴로움에 빠트리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후 크라머는 1486년에 논란이 된 《마녀의 망치(Malleus Maleficarum)》라는 책을 집필하게 된다. 이 책의 첫머리에는 악천후의 원인이 마녀라고 적혀 있으며, 제15권 2장에도 ‘그들은 어떻게 우박과 폭풍우, 번개를 일으켜서 인간과 짐승들을 해치는가’라는 제목으로 언급되어 있다.[30][31]

:“따라서 그들은 손쉽게 우박을 동반한 폭풍을 일으킨 것처럼 바다에 번개와 폭풍우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장에 조금이라도 의문의 여지는 없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이 합당합니다.”

이 책에 부록으로 첨부된 교황의 서신과 쾰른 대학교의 의견을 이 책에 대한 공개적인 지지로 생각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인노첸시오 8세의 서신은 책의 내용을 인가한 것이 아니라, 사악한 악마의 마법을 조사할 것을 심문관에게 지시하면서, 이들의 성무 수행을 방해하려는 이들에게 경고하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인노첸시오 8세의 서신은 요한 22세, 에우제니오 4세, 니콜라오 5세 등 전임 교황들이 썼던 서신과 내용 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았다.[32]

''마녀 사냥의 망치'', 1520년판


인노첸시오 8세는 독일의 종교재판관 하인리히 크라머의 요청에 따라, 마법사와 마녀에 대한 크라머의 조사를 지지하는 교황령 ''교황청의 염려''(1484년 12월 5일)을 발표하였다.[6]

:"우리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는 소식이 최근 독일 상부 지역의 일부, 즉…마인츠, 쾰른, 트리어, 잘츠부르크, 그리고 브레멘에서 들려왔습니다. 많은 남녀들이 자신의 구원을 무시하고 가톨릭 신앙을 저버린 채, 수컷과 암컷 악마에게 자신을 맡기고, 주문, 부적, 주술, 그리고 다른 끔찍한 미신과 마법, 범죄, 악행으로…여성의 자식, 동물의 새끼, 땅의 산물, 포도나무의 포도, 나무의 열매, 그리고 남녀, 가축, 무리, 모든 종류의 동물, 포도밭과 과수원, 초원, 목장, 수확, 곡물과 다른 지구의 열매를 파괴하고 멸망시킨다…."

이 교황령은 독일에서 마녀 사냥을 할 명시적인 권한을 요구하는 도미니크 수도회의 하인리히 크라머의 요청에 대한 답변이었다. 그는 현지 교회 당국으로부터 도움을 거절당했는데,[7] 당국은 그의 관할구역에서 일할 권한에 이의를 제기했다. 일부 학자들은 이 교황령을 교구의 독일 가톨릭 사제들과 교황에게 더 직접적으로 복종하는 종교 재판소의 성직자들 사이의 관할권 분쟁에 의해 동기가 부여된 "분명히 정치적인 것"으로 본다.[8]

이 교황령은 크라머가 바랐던 지지를 확보하는 데 실패했고, 그는 은퇴하여 마녀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마녀 사냥의 망치''라는 책으로 편찬하여 1487년에 출판했다. 크라머는 나중에 악천후에 대한 책임이 마녀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이 작품에 첨부된 교황의 편지와 쾰른 대학교의 추정 승인 모두 문제가 있다. 인노첸시오 8세의 편지는 첨부된 책에 대한 승인이 아니라, 악마의 마법을 조사하라는 종교 재판관들에게 대한 지시이자, 그들의 의무를 방해할 수 있는 자들에게 대한 경고였다. 즉, 요한 22세와 다른 교황들을 통해 에우제니오 4세와 니콜라오 5세(1447-1455)에 의해 확립된 당시 관습적인 전통에 따른 교황의 편지였다.[9]

1487년, 인노첸시오 8세는 토마스 드 토르케마다를 스페인의 대종교재판장으로 임명했다. 또한 같은 해, 왈덴세파(보두아)의 견해를 비난하는 교황령 Id Nostri Cordis[10]을 발표하고, 그들에 대한 성전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에게 전면적인 사면을 제공했다. 크레모나의 사제인 알베르토 데 카피타네이는 이 교황령에 따라 성전을 조직하여 도피네와 피에몬테 지방을 공격했다. 샤를 1세 (사보이아 공작)은 결국 자신의 영토가 더 이상 혼란에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개입하여 왈덴세파에게 평화를 약속했지만, 공격으로 인해 그 지역은 황폐화되었고 많은 왈덴세파가 프로방스와 이탈리아 남부로 도망쳤다.

인노첸시오 8세는 1491년에 프란체스코회 신학자 안젤로 카를레티 디 키바소를 사도대사이자 총대리로 임명하고, 마우리아나 주교와 함께 가톨릭과 왈덴세파 간의 평화 협정을 맺는 데 참여했다.[11]

1486년, 인노첸시오 8세는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의 900개 논제 중 적어도 13개가 이단이라고 확신하여 그 논제가 담긴 책을 금서로 지정했다.[12]

5. 3. 스페인 종교 재판 지원

1487년 인노첸시오 8세는 토마스 데 토르케마다를 스페인의 대심문관으로 임명하였다.[33] 그는 발도파를 토벌하기 위한 십자군 소집을 촉구하면서, 참여자에게는 전대사를 부여한다고 공표하였다.[10]

스페인 종교 재판은 교황의 권위를 이용하여 정치적 탄압의 도구로 악용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5. 4. 기타 업적

1486년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가 쓴 《인간의 존엄에 관하여》의 논제 중 일부를 이단으로 단죄하고 금서로 지정하였다.[33] 1492년 그라나다 함락을 기념하여 레콩키스타의 공로자인 페르난도 2세와 이사벨 1세에게 '가톨릭 부부왕' 칭호를 하사하였다. 로마에 바티칸 궁전 위에 벨베데레를 건축하도록 지시했는데, 이곳이 바로 오늘날 벨베데레의 뜰(Cortile del Belvedere)의 원형이다.

5. 5. 족벌주의와 사생활

인노첸시오 8세는 사생아 프란체스케토 치보(1450-1519)를 로렌초 데 메디치의 딸 마달레나(1473-1528)와 1488년에 결혼시켰다.[34] 그 대가로 로렌초의 차남 조반니(훗날 교황 레오 10세, 13세)를 추기경에 서임했다.[34]

인노첸시오 8세는 성직자가 되기 전에 최소 7명의 사생아를 두었다.[3] 그중 아들과 딸 두 명만 적자로 인정받았다. "그의 사촌 등 친족의 등용은 부끄러울 만큼 과도했다".[22] 그의 딸 테오도리나 치보는 제라르도 우소디마레와 결혼하여 아들 아라니노 치보(게라르도 치보의 아버지)와 딸 바티스티나 우소디마레(루이지 다라고나와 결혼), 페레타 우소디마레(로마, 1478년~제노바, 1550년 12월 3일)(알폰소 1세 델 카레토, 안드레아 도리아와 결혼)를 두었다. 사보나롤라는 그의 세속적인 야망을 질책했다.[23]

6. 죽음

1492년 7월, 인노첸시오 8세는 열병으로 인해 병세가 위독해졌다. 필리포 발로리에 따르면, 그는 '젊은 여성의 가슴에서 나온 몇 방울의 젖 외에는 아무것도 섭취할 수 없는 무기력한 살덩이'가 되었다.[17] 결국 그는 1492년 7월 25일에 선종하였다.

산 피에트로 대성당의 인노첸시오 8세 기념비


그의 무덤은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 있으며, 안토니오 델 폴라이올로가 제작했다.[18] 그의 묘비에는 "Nel tempo del suo Pontificato, la gloria della scoperta di un nuovo mondo" (번역: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새로운 세계 발견의 영광")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19] 작가 루제로 마리노는 이 비문을 두고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알려진 것보다 먼저 아메리카를 발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9]

인노첸시오 8세의 담당 의사는 유대인 의사였으며, 일각에서는 그가 세계 최초로 수혈 치료를 받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반유대주의에 의해 만들어진 소문일 가능성이 크다.

참조

[1] 웹사이트 Papa Innocenzo VIII https://www.ilcommia[...] Il Commiato 2024-11-27
[2] 서적 Vita e fatti d'Innocenzo VIII., papa CCXVI. https://books.google[...] Tip. di V. Ferrario
[3] 백과사전 Pope Innocent VIII
[4] 웹사이트 Sede Vacante August 12, 1484 – August 29, 1484 http://www.csun.edu/[...]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2016-08-03
[5] 서적 Saints & Sinners – A History of the Popes Yale University Press
[6] 위키소스 Wikisource:Summis desiderantes
[7] 서적 Witchcraft in Europe, 400–1700: A Documentary Histo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8] 간행물 Witchcraft in Spain: The Testimony of Martín de Castañega's Treatise on Superstition and Witchcraft (1529)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79-10-15
[9] 서적 Witchcraft and Magic In Europe
[10] 서적 Id nostri cordis 1669
[11] 백과사전 Bl. Angelo Carletti di Chivasso
[12] 백과사전 Giovanni Pico della Mirandola
[13] 서적 (Minnich)
[14] 서적 For the glory of Go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서적
[16] 웹사이트 Sede Vacante1492 https://www.csun.edu[...]
[17] 간행물 The Triple Crown
[18] 백과사전 Pollaiuolo
[19] 웹사이트 Haiti, i dubbi sul ritrovamento della Santa Maria di Colombo (Doubts over the finding of the Santa Maria of Colombo) http://www.ilfattoqu[...] ilfattoquotidiano.it 2014-05-19
[20] 서적 The Authority of the Word
[21] 웹사이트 St. Peter's Basilica – A Virtual Tour http://stpetersbasil[...] Our Sunday Visitor
[22] 백과사전 Innocent/Innocent VIII
[23] 서적 The Life of Girolamo Savonarola
[24] 서적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General Books LLC
[25] 서적 The Universal Dictionary of Biography and Mythology Cosimo, Inc
[26] 서적 The every day book of history and chronology http://books.google.[...] Appleton.
[27] 서적 The chronicles of Enguerrand de Monstrelet http://books.google.[...] London, Printed for Longman, Hurst, Rees, Orme, and Brown.
[28] 서적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during the Middle Ages Harper & bros
[29] 웹사이트 Wikisource, Summis desiderantes, by Pope Innocent VIII http://en.wikisource[...] En.wikisource.org 2013-06-23
[30] 웹사이트 Malleus Maleficarum (1486)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3-06-23
[31] 서적 The Malleus maleficarum of Heinrich Kramer and James Sprenger Dover Publications
[32] 서적 Witchcraft and Magic In Europe
[33] 웹사이트 Giovanni Pico della Mirandola http://www.newadvent[...] New Advent
[34] 서적 교황연대기 바다출판
[35]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36] 서적 History of Medicine: A scadalously short introduc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